반응형
-거시경제학의 등장 배경-
1930년 대공황으로 인해 사람들은 기존 자유방임주의적 경제학이 항상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것과 경제의 단기적인 성과와 장기적인 성과가 반드시 일치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즉 장기적으로는 경제가 나아지더라도 그 과정에는 화황과 불황이 반복되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 경제학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개별 시장 혹은 산업이 아닌 국가를 분석대상으로 하는 이론적 기반이 필요해진 것이다.
-거시경제학의 본질-
거시경제학이란 경제 전체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춘 경제학을 의미한다. 거시경제학은 단기적인 경기변동과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 경제는 장기적으로는 성장하지만 그 과정에서 화황과 정체, 불황과 회복을 반복하게 된다. 거시경제학은 이러한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이며, 단기적으로 경제가 변동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한다.
즉, 거시경제학은 경제 전반을 분석의 대상을 삼는 분야로 단기적인 경기변동과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반응형
'정보, 상식 >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연준 테이퍼링 개시!! (0) | 2021.12.17 |
---|---|
저평가 가치주 발굴!! 주가순자산비율(PBR) 용어정리 (4) | 2021.12.16 |
주식 공매도 뜻!! (10) | 2021.12.15 |
나누자!! 황제 주식~~ 삼성 전자의 액면 분할(Stock Split)의 정의 (1) | 2021.12.14 |
블랙스완(Black Swan)은 발생할까?? 블랙스완 의미 해석 (0) | 2021.12.13 |
자기자본이익률(ROE)를 알아보자!! (0) | 2021.12.12 |
투자는 항상 기회비용을 생각하라!! (0) | 2021.12.11 |
미시경제학 (0) | 2021.12.09 |